본문 바로가기
SB

[자격증 취득] 설비보전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5

by 시골찌 2022. 3. 1.
728x90
반응형

 

암소음 보정값 구하는 방법

우선 암소음이란 단어가 생소하여 무슨 의미인지 모르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간단하게 용어 설명을 하자면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소음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아주 조용한 방에서 소음측정기로 소음을 측정 할 경우 0 dB 이 아닌 5~10 dB 이상의 소음이 측정되게 되는데, 이런 일반적인 소음이 바로 암소음이다.

 

동영상 문제에서 암소음의 보정값을 물어보는 문제가 나올때는 

보정표를 외우고 간다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사실 외울것도 없을정도로 간단하다.

 

측정 소음도와
암소음도의 차
2 3 4 5 6 7 8 9
보정값 - 4 - 3 - 2 - 1

※ 두 소음도의 차이가 10 dB 이상이면 보정값은 0 임.

 

 

위의 간단한 표만 기억한다면 어떤 문제가 나와도 충분히 풀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 표를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보자.

(정답은 아래에 있음)

 

Q1. 다음과 같은 암소음의 영향에 대한 보정값은 얼마인가?

    측정소음 A : 85 dB

    암소음 B : 80 dB

 

 

Q2. 다음과 같은 암소음의 영향에 대한 보정값은 얼마인가?

    측정소음 A : 85 dB

    암소음 B : 78 dB

 

 

Q3. 다음과 같은 암소음의 영향에 대한 보정값은 얼마인가?

    측정소음 A : 77 dB

    암소음 B : 59 dB

 

 

 

 

 

 

 

 

또 추가로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있으면 정리해서 써 보겠다.

 

 

 



 

 

 

A1.

과정 :

측정소음 - 암소음 = 5 dB 이고, 보정값은 -2 dB 

답 : -2 dB

*참고) 보정 소음값은 85 dB -2 dB = 83 dB 임.

 

A2. 

과정 :

측정소음 - 암소음 = 7 dB 이고, 보정값은 -1 dB 

답 : -1 dB

*참고) 보정 소음값은 85 dB -1 dB = 84 dB 임.

 

A3.

과정 :

측정소음 - 암소음 = 18 dB 이고, 보정값은 0 dB 

답 : 0 dB

*참고) 보정 소음값은 85 dB + 0 dB = 85 dB 임.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