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문제에서 추가로 도움될 만한 내용들이 갑자기 생각나서 적어보려 한다.
베어링 관련 문제
문제형식은 화면에 베어링의 전체적인 형태와 부분적인 모습(분해 및 조립하는모습을 보여주기도 함)을 보여주고, 사람 손으로 움직여보는 영상과 마지막으로 베어링에 각인되어있는 호칭을 보여주고 베어링 종류와 안지름을 물어보는 문제가 많다.
이럴 경우, 아래의 베어링 호칭법 외운다면 알수있다.
하지만,
위 표를 정확하게 다 외우고 가면 좋겠지만 다 외우는건 효율적 측면에선 너무 떨어지는 행동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외워야 할 부분만 외워서 문제를 맞추면 된다.
베어링 문제가 나온다면 높은 확률로 종류와 안지름을 물어보기때문에
그것들을 확인 할 수준만 된다면 충분하다.
종류는 첫번째 숫자 또는 문자를 보면 알 수 있고,
안지름은 마지막 숫자를 보면 알 수 있다.
먼저 종류는 간단하게 아래 처럼
형 식 기 호 | 종 류 |
1 | 자동 조심형 |
2 | 자동 조심형 롤러 |
3 | 테이퍼 롤러 |
5 | 스러스트 |
6 | 단열 깊은 홈 |
7 | 단열 앵귤러 콘텍트 |
N | 원통 롤러형 |
이렇게만 필요한것들만 외운다면 문제로 나오는 베어링들은 구분은 손 쉽게 할 수 있다.
안지름은 베어링번호의 마지막 숫자 뒤에 2자리까지가 베어링 안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안지름은 아래와 같이 두가지 경우로 나뉘는데,
○ 베어링 안지름 번호가 00 ~ 03 일 경우 | |
번호 (기호) | 안지름 |
00 | 10 mm |
01 | 12 mm |
02 | 15 mm |
03 | 17 mm |
○ 베어링 안지름 번호가 04 이상 일 경우 (※ 안지름이 20 mm 이상 ~ 500 mm 미만 인 경우) |
|
안지름 = 번호 × 5 | |
번호 (기호) | 안지름 |
04 | 20 mm |
05 | 25 mm |
06 | 30 mm |
: : |
: : |
10 | 50 mm |
11 | 55 mm |
12 | 60 mm |
: : |
: : |
사실상 베어링 안지름 번호가 00~03까지만 외우고, 04 이상 부터는 ×5 만 해 주면 쉽게 알 수 있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몇가지 풀어보자
(정답은 아래에 있음)
또 추가로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있으면 정리해서 써 보겠다.
A1.
종류 : 단열 깊은 홈형 볼 베어링
안지름 : 60 mm
A2.
종류 : 원통 롤러 베어링
안지름 : 60 mm
A3.
종류 : 자동 조심형 롤러 베어링
안지름 : 100 mm
A4.
종류 : 테이퍼 롤러 베어링
안지름 : 60 mm
'S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취득] 설비보전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6 (베어링) (5) | 2022.03.22 |
---|---|
[자격증 취득] 설비보전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5 (12) | 2022.03.01 |
[자격증 취득] 설비보전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3 (작업형) (12) | 2022.01.18 |
[자격증 취득] 설비보전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2 (작업형) (8) | 2022.01.14 |
[자격증 취득] 설비보전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1 (작업형) (215) | 2022.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