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어서 평행도는
옵티컬 파라렐을 사용하여 측정하게 되는데

한세트에 4개의 옵티컬 파라렐이 주어지며
측정방법은
마이크로미터의 스핀들과 엔빌 사이에 옵티컬 파라렐을 밀착시키고

그때 엔빌과 스핀들면의 간섭무늬 갯수를 합하여 반파장을 곱하면 P1의 평행도를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3개의 옵티컬 파라렐을 가지고 평행도를 측정 한 후 4개중 가장 큰 값을 평행도로 취하게 된다.
아래의 예시와 같이 데이터를 측정 했다면
엔빌면의 간섭무늬 갯수 (N1) | 스핀들면의 간섭무늬 갯수 (N2) | 합계 (N1 + N2) | 평행도 (P) | |
옵티컬 파라렐 (P1) | 1.0 | 1.0 | 2.0 | 0.59 ㎛ |
옵티컬 파라렐 (P2) | 1.5 | 1.0 | 2.5 | 0.74 ㎛ |
옵티컬 파라렐 (P3) | 2.5 | 1.5 | 4.0 | 1.18 ㎛ |
옵티컬 파라렐 (P4) | 1.0 | 1.5 | 2.5 | 0.74 ㎛ |
P3의 값이 가장 크므로
따라서 평행도는 1.18 ㎛ 가 된다.
728x90
반응형
'J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취득] 정밀측정산업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다이얼게이지 교정) (0) | 2023.06.29 |
---|---|
[자격증 취득] 정밀측정산업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마이크로미터 교정 - 기차값) (0) | 2023.06.23 |
[자격증 취득] 정밀측정산업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마이크로미터 교정 - 평면도) (0) | 2023.06.21 |
[자격증 취득] 정밀측정산업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측정 Data의 통계적 처리) (0) | 2023.02.08 |
[자격증 취득] 정밀측정산업기사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법 (비커스 경도시험1) (3) | 2022.11.01 |
댓글